태풍 이름짓는 방법 및 태풍 이름 유래 정리
태풍 이름짓는 방법 및 태풍 이름 유래 정리
태풍은 여름철 마다 찾아와 우리 나라에 매년 크고 작은 피해를 입힙니다. 이렇다보니 과거의 태풍들과 비교를 하며 태풍의 힘의 정도를 다루는 뉴스가 자주 등장하곤 합니다. 간혹 태풍의 이름이 곤충 이름이라던가 친근한 한글이름이 나오는 경우 의아해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혹은 태풍의 이름을 우리 나라에서 짓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고자 태풍 이름짓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태풍에 이름을 지어주기 시작한 이유부터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태풍이 발생되면 일주일 이상 유지되기도 하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같은 나라 같은 지역에 태풍이 몇 개씩 움직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태풍예보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태풍에 이름을 지어주기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이와 같이 태풍에 이름을 지어주는 것은 호주의 예보관들이 먼저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본인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태풍에 붙여 풍자적인 느낌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공식적으로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은 미 공군과 해군에서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붙이기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의 기상 예보관들은 태풍의 이름으로 본인의 애인이나 아내의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그렇지만 태풍이 사람들에게 피해만 주는 안 좋은 이미지가 여자 이름만 사용하다보니 여성단체가 반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1979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이 번갈아가며 사용되었습니다.
기존의 태풍 이름을 짓는 방법이 현재의 방법으로 바뀌게 된 것은 2000년부터입니다. 기존의 서양식 표기방식에서 태풍위원회를 통해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각 회원국들이 제출한 고유 이름을 태풍에 명명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태풍의 이름을 제출한 국가는 총 14개국입니다. (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미국,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홍콩, 마카오, 미크로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각 나라별로 10개씩의 이름을 제출해 총 140개의 이름을 순서대로 태풍의 이름에 사용하는데요.
140개의 태풍이름을 5개 조로 나누어서 1조부터 차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40개의 이름이 모두 사용되면 다시 처음 사용했던 이름을 사용합니다. 1년에 발생하는 태풍은 평균적으로 30개 정도입니다. 그래서 5년 정도 지나면 140개의 이름을 모두 사용하게 되며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우리나라가 태풍 이름을 정하는 방법은 영문으로 표기를 하거나 발음을 할 때 쉬운 동식물에서 이름을 고르는 것이라고 합니다. 태풍 이름 짓는 방법을 모를때는 간혹 태풍의 이름이 한글인 것이 많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으실텐데요. 한글로 된 태풍이 많아보이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회원국 중에 북한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 역시도 태풍 이름을 한글로 짓다보니 140개의 태풍 이름 중에 아무래도 한글 비중이 높은 이유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140개의 이름을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사용을 하고 있지만 이 이름들을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태풍이 큰 피해를 입힌 경우 그 태풍의 이름 삭제함으로써 다시 그런 피해를 입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기도 하는데요. 태풍위원회가 열릴때 이름 삭제를 요청하면 피해가 컸던 태풍의 이름은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태풍 이름 짓는 방법 및 태풍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매년 발생하는 태풍, 다시 한번 주의하여 태풍에 피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